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52

건강과 웰빙, 건강한 삶과 복지 1. 목표를 정한 이유  건​강과 복지는 지구촌의 모든 사람들이 마땅히 누려야 할 권리입니다. 예를 들어 아플 때는 병원에서 치료를 받을 수 있고, 갈 수록 다양해지는 다양한 전염병으로부터 보호받을 권리가 있습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이러한 권리를 보장받지 못하여 건강을 잃고 다양한 질병과 재해로 소중한 목숨을 잃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임산부와 신생아의 사망을 예방하고, 아프면 누구나 치료를 받아 건강해질 수 있도록 3번째 목표를 정하게 되었습니다. 2. 목표의 구체적인 내용  모든 연령층의 건강한 삶을 보장하고 웰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2030년까지 전 세계 산모의 사망 비율을 10만 건의 생존 출산당 70건 미만으로 감소시킵니다. 저출산으로 인.. 2025. 1. 18.
기아 종식, 굶주린 사람이 없는 세상 1. 배경   기아는 심각한 형태의 영양실조를 의미합니다. 우리가 사는 지구촌에는 지구에 사는 모든 사람이 충분히 먹고도 남을 만큼의 식량이 있습니다. 하지만 전 세계 인구 약 80억 명 중에 약 6억 9천만 명이나 되는 사람들이 굶주림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음​식을 충분히 섭취하지 못한 사람은 각종 질병에 걸릴 위험이 높고, 건강을 유지하기 어렵습니다. 또한 굶주림에 시달려 돈을 벌지 못하고 생계를 유지 하기 어려운 악순환의 고리로 빠져드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지구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아무도 굶주리지 않고 영양가 있는 음식을 섭취할 수 있도록 농업을 더욱 지속가능하게 만들어야한다는 목표가 만들어졌습니다.2. 내용  기아를 없애고, 안전하고 영양가가 풍부한 식량을 얻고, 지속가능한 농업을 장려하.. 2025. 1. 18.
빈곤 퇴치, 빈곤한 사람이 없는 세상 1. 목표가 중요한 이유  빈곤의 사전적인 의미는 '가난하여 살기가 어려움.'이라는 뜻입니다. 하지만 지속가능발전목표에서 '빈곤'은 단순히 돈이 없어서 가난한 것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여기에는 굶주림, 사회적인 차별, 교육이나 의료 시설 부족, 정치적 참여 제약 등이 포함됩니다. 코로나19로 인해 2020년에 세계의 빈곤율이 증가하는 상황이 나타났습니다. 빈곤은 개발도상국만의 문제가 아니라 전 세계 모두가 함께 해결해야 하는 과제입니다. 모든 국가의 모든 사람들이 기본적인 권리를 평등하게 누릴 수 있도록 빈곤 없는 세상을 함께 만들어야 합니다.2. 목표의 구체적인 내용  2030년까지 현재 기준으로 하루에 1.25달러 미만으로 살아가는 사람들이 없도록 모든 곳에서 절대 빈곤 인구가 없도록 합니다. 1.2.. 2025. 1. 18.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에 대해 알아보기 1. '지속가능한발전'의 의미  지속가능발전목표는 영어로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이며 약자로 SDGs라고 합니다. 2015년 제 70차 국제연합(UN)총회에서 2030년까지 달성하기로 한 인류 공동의 17가지 목표입니다. 이 목표들은 지속가능발전의 이념을 실현하기 위한 것들입니다. 여기서 '지속가능한발전'이란 미래 세대가 그들의 필요를 충족할 수 있는 능력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현재 세대의 필요를 충족하는 발전을 말합니다. 사회적으로는 자연과 조화를 이루는 건강하고 생산적인 삶을 지향하고, 경제적으로는 환경을 훼손하지 않고 인류가 지속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경제 개발을 하며, 환경적으로는 후손을 생각하고 현재 세대도 쾌적하게 살 수 있는 깨끗한 환경을 조성하는 것입니다. 지속가.. 2025. 1. 17.